티스토리 뷰
행정안전부,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늘 폭염으로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고 발표했다. 식재료의 위생을 잘 감독해서 손에 흐르는 물로 30초 이상 씻는 등 식중독 예방에 신경써 달라고 당부했다.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10~2019년 총 10여년 동안 총 3,101건의 식중독이 발생했다. 이 역시 67,270명의 환자가 있다. 식중독은 뜨거운 계절인 6월에서 8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6월에는 온도와 습도가 높고 식중독균이 활발하지만 한여름보다는 음식관리를 잘 못하는 경우가 많아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다. 최근 10년 동안 식중독 발생률은 11%(327건)와 12%(8162건)로 나타났다.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으로 보면 상위 6개 세균성 식중독이 환자의 33%(1,11건)와 60%(41,36건)를 차지한다. 특히 병원성 대장균은 전체 발병 건수의 12%(381건)와 29%(1만9196명)를 차지하는 주 원인균으로 알려졌다. 주로 복통, 설사를 일으키지만 이를 막기 위해 재료를 흐르는 물을 이용해 3회 이상 씻어 끓는 물에 조리기구를 살균한다. 또한, 조리 도구는 다른 용도로 구분되어 사용되어야 한다. 그 외에는 여름 시즌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불을 통해 모든 식량을 섭취해야 하고 지하수는 반드시 삶아야 한다. 조리된 음식을 상온에 두지 말고 완전히 다시 데운 후에 복용한다. 조리된 물품과 날 것은 서로 뒤죽박죽 섞이지 않도록 별도의 용기에 보관하고, 고기해물칼과 도마 등은 교차오염을 피하기 위해 따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. 요리 전, 식사 전, 화장실에 간 후에는 꼭 손을 씻어야 하며, 손이 긁힌 경우는 고기나 해산물을 직접 만지지 않도록 한다. 식사 후 메스꺼움, 구토, 복통, 발열,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식중독을 생각해보아야 한다. 증상이 일어나면 병원에 가야 하고, 의사의 처방 없는 상태로 약을 복용해서는 안 된다. 또 탈수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물을 자주 섭취하는 것이 좋지만 끓는 물 1리터에 설탕 4스푼, 소금 1스푼을 넣어 먹거나 이온음료를 마시면 도움이 된다.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음식을 조리하는 곳의 규모가 클수록 개인위생과 철저한 식품관리로 식중독을 막아야 한다. 30초 이상 집에서 흐르는 물로 손 씻기 등 개인 위생 관리에 신경써 달라고 당부했다.
'일상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마스크에 숨은 감정 (0) | 2020.06.15 |
---|---|
서쪽빙하가 빨리 녹는 이유 (0) | 2020.06.13 |
바이오 혁신클러스터 관심 이유 (0) | 2020.06.05 |
배터리팩 발전과 전기차 대중화 초읽기 (0) | 2020.06.02 |
고양이 키우기 전 주의점 초보 집사 필수 TIP (0) | 2019.04.26 |